잉한어학연구소
Our Services
We create Best Digital Products
Missiom 01
► 영어 모국어 사용자에 대한 “잉한 교육 표준 프로그램” 개발 / 보급
►전세계가 통일되게 사용할 수 있는 “잉한어문규정” 제정
► 한글로 표기 할 수 없는 영어/ 외국어의 발음 표기법 체계화 연구
► 잉한 국내 교육 컨텐츠 개발
- 유치원 잉한교재 잉한프로그램
- 초, 중고등, 성인 프로그램
► 시, 수필, 소설 등 문학 작품 잉한 번역사업
► 잉한국내(국제)대회개최: 잉한말하기 잉한글짓기 잉한노래 잉한뮤지컬
Missiom 02
► 한류 열풍 활용한 잉한 해외 전파
► 국제 협력 / 해외 학원 원장 사업 추진
► 국외 진출 시장조사 / 해외 교육기관과 MOU 체결
► 한국 주재 외국 대사관과 “잉한 사업” 업무협조
► 문자가 없는 소수민족의 잉한을 통한 지구촌 문맹 퇴치 사업 추진
► 잉한 국제 정기 학술 세미나 개최
► 해외 잉한 학습자 초청 한국 방문 추진

Our mission
잉한 언어학 체계화 방안
잉한은 “한소리 한 글자”로 영어를 소리 나는 대로 쓰고 쓰여있는 대로 읽는다.
잉한은 영어의 발음 표기는 “영어사전BASIC한글발음표기”의 영어 발음 한글 표기에 준칙을 따른다
한글에 없는 영어의 발음은 최적 한글의 발음으로 표기한다.
잉한 어문규정 제정으로 잉한의 언어학적 체계화를 달성한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주 바우바우시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에 공식문자로 한글을 보급한 “훈민정음학회” 표기법 참조
그 외의 세부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표기법’을 참고로 하여 잉한연구소에서 정한다.
Our mission
잉한의 세계공용어화 방안
- 잉한 언어(잉한 앨퍼벳 한글)에 의한 검색 플렛폼을 전문가가 분담 해서 제작 반포 상장 운영 한다.(사례 참조: 구글 네이버 야후)
- 유네스코의 “바벨 계획”을 잉한 세계공용어화에 활용 유네스코 바벨계획(2008년) : “한글을 소수민족문자로 사용을
권장한다”는 취지의 운동을 재발화 하여 잉한세계공용어화에 활용 - 한국어 UN 공식어 추진에 편승
기존 6개 UN공식 언어인 영어, 중국어, 아랍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에 더해서 한국어를 국가차원 외교,
세계한인사회와 공조하여 UN공용어로 추진하는 추세에 편승하여
잉한 세계공용어화 추진 - K-컬쳐 세계화의 한글 배우기 열풍을 활용하여 잉한 세계공용어화
태권도 세계화 과정을 벤치마킹하여 잉한 세계공용어화 방안강구
